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DB는 컴퓨터 시스템에 전자적으로 저장된 데이터 모음
초창기엔 과학적인 연구의 용도(수학적 계산)로 사용
점점 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요구사항이 증가
이러한 배경 속 에서 데이터베이스라는 개념이 도입됨
DB 이전에는 파일시스템을 널리 사용

파일 시스템의 단점?
동시 공유가 어려움
파일을 주고 받으면서, 유실 가능성이 항상 존재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이란?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의 집합
사용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의 요구를 처리하고 적절히 응답하여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특징?
실시간 접근성(real time accessibility)
- 데이터베이스는 실시간으로 서비스

계속적인 변화 (continuous change)
- 데이터 값은 시간에 따라 항상 변경
- 데이터베이스는 삽입, 삭제, 수정 등의 작업을 통하여 변경된 데이터 값을 저장

동시 공유 (concurrent sharing)
- 서로 다른 업무 또는 여러 사용자에게 동시에 공유 

내용에 따른 참조(reference by content)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물리적인 위치가 아니라 데이터 값에 따라 참조된다.

데이터베이스 인기 순위

 

데이터 삽입, 삭제, 수정, 조회 기능
- 원하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기능
-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 원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
- 원하는 데이터를 수정하는 기능


동시성 제어의 중요성
- 데이터베이스의 동시성은 한 기업의 비즈니스 성패를 좌우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함

장애 대응 기능
-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손실이 발생한 경우에 복원이 가능 해야함
- 즉 데이터의 보호와 장애에 대한 방안이 있어야 함
①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기능은 사용자에게 보여줄 데이터만 보여주는 것
② 보안에 위배되는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에서 관리
③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 내부를 알 필요가 없고 자신이 원하는 정보처리만을 수행
④ 개인 정보의 유출 등은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므로 데이터의 보안이 중요함

데이터 저장 방식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종류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 계층 구조로 데이터 관리, 최초의 현대적 데이터베이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2차원 표 형식으로 데이터 관리, 가장 널리 사용됨
- 객체 지향형 데이터베이스 :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음
- NOSQL 데이터베이스 : Not Only SQL,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능 일부 삭제

+ Recent posts